전체 글 71

자주 사용되는 HTTP 상태코드(statusCode) 종류와 의미

- 200: 요청이 성공적으로 처리됨 - 201: 요청이 성공적으로 처리되었고 새로운 리소스가 생성됨 - 400: 서버가 요청을 이해하지 못했거나 잘못 된 요청임 - 401: 클라이언트가 인증되지 않았거나 유요한 인증 자격이 없음 - 403: 서버에 의해 요청이 거부됨 클라이언트가 리소스에 접근 할 권한이 없음 - 404: 요청한 리소스가 서버에서 찾을 수 없음 - 407: 클라이언트가 프록시 서버를 통해 요청을 보내기 위해 인증이 필요함 - 500: 서버에서 발생한 내부 오류

개발/HTTP 2023.05.26

ssh 키 만들기, 삭제하기, 보기, 찾기, github 등록하기

github가 갑자기 권한이 없다면서 pull과 push를 거부했다.. ^^ 이유를 찾아보니 ssh키를 github에 등록해야한단다;; 그게 대체 뭐임 자세히 알지는 못했는데 대충 이해한대로 적어본다면 내 컴퓨터에서 발급한 키를 github 계정에도 등록을 해줘야 하는것 같다. - ssh 생성 명령어: ssh-keygen - ssh 조회 명령어: cat ~/.ssh/id_rsa.pub - ssh 삭제 명렁어: rm -rf .ssh 이 세가지만 복붙하면 된다. 1. 터미널을 연다 2. ssh-keygen 를 입력해서 ssh키를 생성한다. 2-1. 이미 ssh키가 있다면 어쩌구 저쩌구 경고문이 나올거임. 근데 나는 헷갈려서 그냥 삭제하고 다시 만들었음 2-2. rm -rf .ssh 를 입력해서 기존 ssh키..

오류 해결/Linux 2023.05.25

스프레드 연산자와 나머지 연산자

둘 다 '...'을 사용해 비슷하게 생겼다. - 스프레드 연산자: 배열이나 객체를 펼쳐서 전개함 객체를 복사하거나 새로운 배열 및 객체 생성 시 유용하게 사용됨 const arr1 = [1, 2, 3]; //얘네 const arr2 = [4, 5, 6]; //둘을... const mergedArr = [...arr1, ...arr2]; //개별로 분리한 후 하나의 배열로 합치기~! console.log(mergedArr); // 출력: [1, 2, 3, 4, 5, 6] - 나머지 연산자: 나머지 값들을 모아서 배열로 만듦 함수에 파라미터에서 사용되며 함수에 전달된 인자들 중에서 명시된 파라미터로 할당하지 않은 나머지 인자들을 배열 형태로 받아옴 function foo(a, b, ...rest) { //a..

개발/JavaScript 2023.04.14

[Mac] 사용중인 포트 확인 및 프로세스 강제종료

순조롭게 3000번 포트로 개발중이던 어느날... npm start를 하자 이미 다른 프로세스가 3000번 포트를 쓰고있다는 오류가 떴다. 오류: [NestApplication] Error: listen EADDRINUSE: address already in use :::3000 엥? 누구야 ~! 하지만 어떤 프로세스가 사용중인지 찾기 위해 그 방법을 찾아야 하는... 과정이 넘나 귀찮았기 때문에 조금 있으면 알아서 종료가 되겠지 하고 내 포트 번호를 3001번으로 변경했다. 하지만 예상과 다르게 이틀째 3000번 포트를 사용 못해서 이 글을 쓰게 되었다 ㅎ 1. 터미널에 lsof -i :[조회할 포트번호] 를 입력한다. 나는 3000번 포트를 조회할것이기 때문에 lsof -i :3000 이라고 해줬다...

오류 해결/Linux 2023.04.12

'초기화' 란?

일상생활에서 초기화 하다 라는 말은 아예 싹 없애버린다(?)라는 뜻으로 썼던 것 같은데 코딩을 배우면서 초기화라는 단어의 뜻이 내가 알던 뜻과 살짝 다르게 사용되고 있는 것 같아서 공부 겸... 헷갈림 방지를 위해 글을 작성하기로 했다. 초기화란? 일반적으로는 변수나 객체의 초기 상태를 지정해주는 것 이라는 뜻으로 쓰인다. 물론 상황마다 다른 뜻으로 쓰일 때도 있겠지만...! 변수나 객체가 초기화 되면 초기화 된(지정해준) 그 값부터 새롭게 시작하는거다. 이전에 어떤 값이 들어갔던지 상관 없이!

개발/JavaScript 2023.04.11

의존성 주입이란?

와 이거 간단한건데 왜 이해하기까지 오래걸렸는지 의문.. 의존성 주입이란 객체간의 의존관계를 느슨하게 하기 위한 설계 패턴임 즉 의존성을 최소화 하려고 하는것 (의존성 '주입'이라길래 의존성을 더 높이는것이라고 생각했었다;;) 의존성이 있을 때 다른 객체를 직접 생성해서 사용하지 않고 생성자를 통해 외부에서 객체를 생성하여 주입함 * NestJS에서 간단하게 할 수 있음! ex) (NestJS 환경에서 의존성 주입하기) AuthService 클래스 내부에서 UserService 클래스를 사용해야 할 때 import { Injectable } from '@nestjs/common'; import { UserService } from './user.service'; @Injectable() export cl..

개발/NestJS 2023.04.10

의존성 (Dependency) 이란?

어떤 모듈 또는 객체가 다른 모듈 또는 객체를 사용하거나 그것으로 부터 영향을 받는 것. 일반적으로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에서 발생함 (클래스가 다른 클래스를 상속하거나 ... 뭐 그런거) 따라서 의존성이란 하나의 클래스가 다른 클래스의 메소드나 속성을 사용할 때 해당 클래스의 변경이나 제거가 다른 클래스에서 영향을 줄 수 있는 가능성을 말함. 의존성이 높으면 유지보수 및 테스트가 어려워지므로 의존성을 적절하게 관리하고, 의존성이 최소화된 코드를 작성하는것이 매우 중요함!

개발/NestJS 2023.04.10